시민단체들, 설 명절 맞아 대전현충원에서 국민개헌 추진 서약
홍범도 장군 및 무후 광복군 17위 추모… "직접 민주제 실현하겠다"
임새벽 대표기자 | 입력 : 2025/02/01 [19:55]
1월 31일, 대전현충원 홍범도 장군 묘지에서 <개헌개혁 행동마당>을 비롯한 46개 시민단체 회원들이 '자주독립·좌우합작 정신 추모 및 국민개헌추진 서약' 행사를 마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공익감시 민권회의
|
[원뉴스=임새벽 대표기자] 설 명절을 맞아 46개 시민단체가 국립대전현충원을 찾아 홍범도 장군과 후손 없는 무후(無後) 광복군 17위를 추모하고, 국민개헌 추진을 위한 서약식을 진행했다.
1월 31일 정오부터 낮 2시까지 <개헌개혁 행동마당>을 비롯한 46개 시민단체 회원 약 35명은 '자주독립·좌우합작 정신 추모 및 국민개헌추진 서약' 행사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참석자들은 직접 민주제 실현을 위한 개헌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뜻을 모았다.
송운학 개헌개혁행동마당 상임의장은 "설 명절을 맞아 특별히 홍범도 장군과 무후 광복군 17위를 찾아 참배한 것은 이들이 좌우합작에 적극 참여하며 자주독립 정신을 실천한 인물이기 때문"이라며 "그동안 이분들이 역사적으로 부당한 대우를 받아온 것은 안타까운 현실"이라고 말했다. 또한, "우리 국민은 조기 대선에서 국민개헌안을 찬반 투표할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대동단결해야 한다"며 직접 민주제 실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행사는 강신례, 초헌례, 아헌례, 종헌례, 음복 등의 설 차례로 진행됐다. 이어 참석자들은 독립유공자 제7 묘역에 위치한 무후 광복군 17위 묘지로 자리를 옮겨 합동상석(合同床石) 앞에서 제2부 행사를 가졌다.
류종열 국가혁신개헌 국민운동본부 상임공동대표는 "국민개헌이 이루어진다면 결선투표제와 정당·후보 연기명투표제를 도입해 승자독식을 타파하고, 국회의원의 특권을 대폭 축소할 수 있을 것"이라며 "제왕적 대통령제를 개혁해 국회를 보다 합리적인 기구로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제2부 행사에서는 독립군가를 제창한 후, 참가자들이 공동 서약하는 '축문'이 낭독됐다. 이날 참배 행사에는 이근철 국민연대 상임대표, 김종대 대한미래원 총재, 김장석 검경 개혁과 법치 민주화를 위한 무궁화클럽 회장, 한일영 선감학원 아동인권유린 진상규명 추진위원회 회장 등 다양한 인사들이 참석했다.
이들은 "대한민국은 여전히 선열들이 꿈꾸던 나라를 완성하지 못했다"며 "국민 발안·발의, 국민 파면·소환, 국민 찬반투표를 포함한 직접 민주제가 실현되는 제7 민주공화국을 건설해야 한다"고 뜻을 모았다.
한편, 참석자들은 홍범도 장군 흉상의 육군사관학교 철거 논란을 언급하며 "선열들이 목숨 바쳐 지킨 나라가 아직도 역사적 정통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우리 국민이 윤석열 정부의 친위쿠데타를 좌절시켰으며, 이에 대한 국민적 심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날 행사는 무후 광복군 17위 앞에서 국민개헌 추진을 다짐하는 공동 서약으로 마무리됐다. 참석자들은 "선열들의 정신을 이어받아 대한민국의 근본적인 개혁을 이뤄내겠다"고 다짐하며 행사를 마쳤다.
<저작권자 ⓒ 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